2025년 5월 19일, 또다시 SPC 계열 제빵공장에서 안타까운 사망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경기도 시흥시의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컨베이어 벨트에 끼여 목숨을 잃은 사건은, 이번이 세 번째 반복된 사망 사고라는 점에서 더욱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 사고 개요: 무엇이 어떻게 일어났는가?
피해자는 새벽 근무 중 컨베이어 벨트의 진동 이상을 점검하고 윤활유를 뿌리던 중, 상반신이 벨트에 끼이는 참변을 당했습니다. 컨베이어 벨트 내부로 몸을 깊숙이 넣어야 하는 작업 환경이 구조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 반복되는 사고, SPC의 안전 불감증?
이번 사고는 SPC 계열사에서 발생한 세 번째 사망 사고입니다.
- 2022년 10월, 평택 SPL 공장: 20대 여성 노동자가 소스 교반기에 끼여 사망
- 2023년 8월, 성남 샤니 공장: 반죽 기계에 끼여 50대 노동자 사망
- 2025년 5월, 시화 SPC삼립 공장: 컨베이어 벨트 끼임 사고
이러한 반복된 인재(人災)는 "SPC가 과연 작업장의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고 있는가?"에 대한 사회적 의문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가능성은?
이번 사건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해당 법은 기업의 안전관리 책임을 보다 강화한 법으로, 사고 예방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경우 경영진에게 형사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과거 사고 이후 SPC 측은 1천억 원 규모의 안전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나, 이후에도 유사 사고가 발생했다는 점은 형식적 조치였을 가능성을 의심하게 합니다.
🧱 구조적 문제는 어디에 있는가?
- 협소하고 밀폐된 작업 공간
- 공정 중 안전장치 미비 혹은 작동 불능
- 위험 공정 중 작업자 단독 작업
- 실질적 안전교육 미비
- 산재 처리 및 사고 조사 시 불투명한 대응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사고를 반복시키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정부: 철저한 사고 조사 및 중대재해법 적용 여부 판단
- 기업: 근본적인 설비 구조 개선 및 외주 인력의 안전교육 강화
- 사회: 반복되는 산업재해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감시
SPC의 세 번째 사망 사고는 단순한 '사고'가 아닙니다. 반복되는 인재는 경고가 아닌 경종입니다.
기업의 성장은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 위에 세워져서는 안 됩니다.
더 이상 이런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우리 모두가 감시자가 되어야 할 때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윤소희, 진지한 와인드업 시구로 야구장 매력 발산 (0) | 2025.05.20 |
---|---|
김호중 징역 2년 6개월 확정…무슨 일이 있었나? (0) | 2025.05.20 |
차철남 사건 개요 및 경찰 공개수배 기준 총정리 – 당신이 알아야 할 범죄 대응 정보 (0) | 2025.05.19 |
이용기 대전시의원 비극의 배경과 향후 정치권 과제 (0) | 2025.05.19 |
연쇄 피습 사건 발생! 시흥 정왕동 안전 위협 실태와 대책은?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