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HMM 부산이전, 현실성 있을까? 공약과 실제 가능성 분석

by 영상덕후 2025. 5. 14.
반응형

2025년 대선이 다가오며, 유권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각종 공약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해운업 중심지 부산을 겨냥한 공약, 바로 HMM 본사 이전 논의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습니다.
하지만 과연 이 공약은 현실성이 있을까요?


🗳️ 이재명 후보의 HMM 부산 이전 공약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5월 14일 부산 유세에서 “HMM 본사를 서울에서 부산으로 이전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는 “정부가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를 통해 출자한 지분이 있는 만큼, 정책적 유도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 공약은 부산의 해운 물류 산업 활성화와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명분을 바탕으로 제시됐습니다.


⚠️ 현장 반응: 노조·직원 강력 반발

하지만 발표 직후, HMM 노조는 즉각 반발했습니다.

  • “그 어떤 사전 협의도 없었다”
  • “직원 대부분이 반대하며, 공약 발표에 분노하고 있다”
  • “민간 기업의 본사 이전은 정권의 입김으로 좌우될 사안이 아니다”

노조 측은 본사 이전은 고용안정성과 생활기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인 만큼 충분한 합의 없이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 현실적인 문제: 과연 가능한가?

📌 HMM의 지배 구조

  • 산업은행 + 해양진흥공사 = 주요 주주
  • 하지만 실제 운영은 민간기업 체제
  • 법적, 주주총회, 이사회 등의 동의 없이는 본사 이전 불가

📌 정치 vs 산업

  • 정치적 명분은 있지만, 실제 해운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어떤 연계가 있는지 명확하지 않음
  • 해운업계 일부는 “이전 효과보다 혼란이 클 수 있다”는 우려 표출

🔎 정치적 의지와 현실 사이

이재명 후보의 HMM 부산이전 공약은 부산 민심을 겨냥한 전략적 행보로 읽힙니다.
하지만 현재 시점에서 보았을 때,
✔️ 노조 반발
✔️ 민간 기업 구조
✔️ 실효성 검토 부재
등의 이유로 단기간 내 실행 가능성은 낮다는 게 업계의 중론입니다.

 

지역 균형 발전은 분명 중요합니다.
하지만 정치적 수단으로 기업의 운영에 개입하거나, 이해관계자의 충분한 합의 없이 이뤄지는 결정은
결국 산업과 지역 모두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HMM 부산이전, 과연 단순한 유세용 메시지일까요?

반응형